분류 전체보기
-
불만가득하지만 지금 당장 떠날 수 없는 (중국) 이곳_직장!LIFE BLOG 2024. 3. 19. 17:14
자괴감이 들었던 중국에서의 하루 어제 정말 오랜만에 중국 후배를 만나서 실컷 회사 욕을 했다. 상사 욕도 하고, 엉망인 회사 운영 시스템이며, 이해되지 않는 복지 현황 등등에 대해서 불만을 토로했다. 욕을 이렇게 많이 해본 게 얼마만인지 모를 정도로 오래도록 욕을 했다. 내 말을 듣고 있는 후배의 반응은 중요하지 않았다. 고삐가 풀린 망아지 마냥 나는 욕설을 섞어 가며 회사 욕을 거침없이 했다. 직장 생활에서 뒷담화(험담) 빠질 수 없는 필요요소라 생각해서 그런지 이날은 더 열심히 욕 했다. 3시간 정도 술을 마시고, 수다를 떤 다음 택시를 타고 집으로 돌아와 샤워를 했다. 옷에선 양꼬치 냄새와 담배 냄새가 잔뜩 배어 있었다. 중국에서 누군가를 만나서 이야기를 했다는 흔적이었다. 일을 시작하면서 이곳에서..
-
미국 주식 세금 정보 : 절세 & 수익 250만원 미만 세금 없음카테고리 없음 2024. 3. 4. 17:52
미국주식 : 돈은 항상 부족한것 같아요. 특히 외국에서 생활을 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그렇다고 해외에서 할 수 있는 부업은 제한이 있죠. 주식을 하는 방법 밖에 없는 것 같아요. 미국주식을 구매하기 시작했는데요. 뭘하든 세금에 대한 기초 지식이 필요하더라구요. 아래는 미국 주식에 관련된 세금 정보입니다 미국 주식 구매 시 고려할 세금 1. 양도소득세 주식 양도소득세는 주식을 매매하면서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1년 동안 매매한 모든 주식의 이익과 손실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이익과 손실 합산액이 마이너스라면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세율은 22%입니다. 비과세 범위는 250만원까지이며, 이 이하의 수익은 양도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2023년부터는..
-
중국 취업 전에 알아야할 것 : 취업비자 & 거류증 그리고 취업증 종류LIFE BLOG 2024. 2. 29. 17:27
중국 취업 : 해외 취업을 할 때 주의할 게 몇 가지 있는데요. 그중 한 가지가 바로 비자 및 체류(거류)증이고, 발급받는 취업증입니다. 취업비자, 거류증 및 취업증의 종류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에서 발급 받은 중국 취업비자의 유효기간 중국 취업 비자 유효기간 90일 한국에서 중국으로 입국을 하려면 중국비자가 필요하죠. 더욱이 중국으로 취업을 할 경우 중국의 취업(Z) 비자가 필요하죠.이 취업 비자는 발급 후 3개월 동안 유효한데요. 이 말은 비자를 발급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중국에 입국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만약 3개월이 지나면 비자는 소멸되어 다시 처음부터 진행해야 하니 유의해야 합니다. 한국에서 취업비자 발급을 위한 필요 서류들 중국에서 취업을 위해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국비자 : 여권이 만료 되어 신여권으로 변경 후에도 이전 구여권으로 발급 받은 중국비자는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나요? / 중국비자 여권발급LIFE BLOG 2024. 2. 28. 17:24
여권과 중국 비자 : 여권을 새로 발급을 받아야 했습니다. 10년 전에 발급받은 여권의 유효기간이 만료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게 있더라고요. 만료된 여권으로 발급받은 중국비자를 계속 사용해도 되는지, 아니면 새롭게 다시 발급을 받아야 하는지? 이게 매우 궁금해졌습니다. 여권을 새로 발급받은 후에 이전 여권으로 발급받은 중국 비자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나요? 이런 고민을 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은데요. 중국에서 지내면서, 10년 전에 발급받은 여권 유효기간이 거의 끝나갔습니다. 때 마침 2024년도에는 한국에서 가족들과 설을 보내고자 2024년 1월 한국행 비행기표를 구매했었죠. 그런데 돌아오는 비행기 편에는 한국에서 새로 발급받은 여권 번호를 써야만 했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
-
2024년 알리바바 주식 구매? / 중국 테무TEMU의 성장은 알리바바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股票주우우시익 2024. 1. 19. 20:02
중국 테무의 성장 : 중국에 살면 꼭 필요한 온라인 플랫폼이 있죠. 바로 淘宝(알리바바)와 拼多多(핀둬둬)와 같은 온라인구매 플랫폼과 알리페이(支付宝)나 위쳇페이(微信支付)와 같은 디지털 화폐 플랫폼입니다. 이들은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특히 테무와 알리바바는 경쟁관계일까요? 아니면 상생관계일까요? 전 세계가 중국 온라인쇼핑앱에 열광 테무는 현재 미국의 온라인쇼핑앱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앱으로 각광받게 되면서, 미국을 비롯해 한국에서도 테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특히 국내의 2023년 10월 기준 알리익스프레스(613만 명)와 또 다른 중국 쇼핑앱 테무의 이용자 수(266만 명)를 합치면 879만 명으로 11번가를 제치고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국 쇼핑앱은 거침없이 직격하고 있다. 특히 ..
-
사무실에서 스트레스 해소하는 간단한 방법/ 일주일 중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요일은 화요일?이다LIFE BLOG 2024. 1. 16. 16:27
화요병 ? :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과학향기라는 코너에서 재밌는 글을 올려놓았더라고요. 2009년 내용이긴 한데 읽고 보니 공감 가는 부분이 있더라고요. 직장인들은 일주일 중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요일이 화요일이라는 설문결과였습니다. 직장인은 화요일에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다? 설문조사 : 직장인들이 일주일 중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요일은 월요일이 아니라 화요일이라는 설문조가 있다네요. 영국의 건강보조식품사인 비무노가 직장인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그중 약 1,500명의 직장인이 화요일에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이유? : 이러한 이유는 월요일은 대부분의 직장인이 주말 동안 있었던 일을 동료와 대화하고 일주일의 업무에 대한 준비운동을 하..
-
2023년 성과 보고 : 스스로에게 창피한 성과 / 성과 보고 작성 팁LIFE BLOG 2024. 1. 15. 15:21
2023년 성과 보고 : 항상 보고서를 통해서 2023년 결과를 보고 했었는 데 올해는 보고서와 함께 2023년 상과를 프레젠테이션까지 하게 되었네요. 100여 명이 넘는 동료들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결과 보고를 했습니다. 2024년에는 좀 더 분발해야겠네요. 중국에서 나의 성과 보고 2023년 8월에 입사했다. 약 5개월 동안의 성과를 보고해야 했다. 보고서 양식을 받고 작성을 해야 하는 데 작성할 내용이 없었다. 나에게 주어진 임무 이외에 내 스스로 이루어낸 성과가 없었다. 그리고 계약서를 작성할 때 꼭 해야 할 업무도 그렇다 할 성과를 못 냈다. 스스로 무안하고 창피했다. 그래도 2023년 동안 내가 했던 업무 성과는 작성해서 상급자에게 보고를 해야 하는 상황. 별것도 아닌 것들은 그럴싸하..
-
중국에서 첫 주말 추가 근무 : 주말근무 수당이 없네요LIFE BLOG 2024. 1. 13. 10:16
첫 주말근무 : 한 해를 마무리하는 작업, 성과 지표를 정리하는 거죠. 저를 포함해서 근무자 모두 2023년 동안 자신이 해왔던 업무와 프로젝트 등에 대한 성과물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이곳에 재직한 지 6개월 차. 아쉽게도 성과물 물이 없네요. 동시에 주말근무 수당도 없다는데... 중국에서 첫 주말 근무 중국 주말근무수당 없다. 하지만... 오늘은 개인 성과지표 정리와 부서성과지표를 보고서로 작성하고 마무리해야 합니다. 그런데 오늘은 토요일이죠. 처음으로 중국에 와서 주말근무를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업무 때문에 자발적으로 회사에 나온 게 아닌지라(전체 공지) 저는 주말근무 수당이 있을 줄 알았는데요. 없네요. 딱히 주말근무 수당을 원했던 건 아니지만, 갑자기 동료부터 '주말근무..
-
2024년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 모음 / 세계경제 및 중국경제이슈 2024. 1. 11. 15:02
세계경제 현황 : 2023년 말이 되면 연구기관에서 2024년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를 작성해서 배포를 하는데요. 참 힘들었던 2023년 경제가 지나고 2024년에는 어떤 경제상황이 될지 궁금하더라구요.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2024년 경제 전망 보고서 사이트를 모아봤습니다. 2024년 세계 경제 및 중국 경제 전망 2024년 세계 경제와 중국 경제 현황에 대해 요약해 볼게요. 세계 경제 : 2024년 세계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3년보다 낮은 2.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12. 미국, 중국, 일본 등은 성장세가 약화되고, EU, 한국 등은 성장세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경제 : 2024년 중국 경제는 중장기 저성장 경로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동산시장 ..